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소셜네트워크 바로가기

로그인 및 영문버전

list

상단메뉴

홍보센터
국제 쌀 가격 당분간 강세 전망
  • 작성일Wed May 28 09:52:54 KST 2008
  • 조회수3484

 

      -  aT, 미얀마 싸이클론 및 중국 지진 발생에 따른 국제 쌀 시장 동향 조

 

aT (농수산물유통공사 : 사장 윤장배)는 최근 미얀마 싸이클론 및 중국 사천성 대지진 발생과 관련하여 세계 각국의 쌀 시장 동향을 5월 19일부터 24일까지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국제 쌀 가격은 출국들의 수출제한 등으 ';07년 11월부터 상승세를 보이기 시작해서 ';08. 1월 이후 폭등세를 보였으며, 5월초 (태국 장립종 1월대비 185%↑)를 정점으로 현재 보합세를 보이고 있다.


  태국 장립종 가격 : (';07.12월)US$376/톤→(';08.1월)386→(4월)883→(5.1)1,100(5.20)1,050

  미국 중립종 가격 : (';07.12월)US$628/톤→(';08.1월)638→(4월)808→(5.1)1,000(5.20)1,025

      * 자료원 : Creed Rice, Rice Online (FOB, 정곡 기준)


 □ 그동안 국제쌀 가격이 폭등한 것은 주요수입국 중 하나인 필리핀의 물량확보, 인도의 소비증가와 타 곡물가격 상승 및 투기자본 유입과물려 나타난 현상으로 08/09년도 세계 쌀 재고 전망치와 비교해 볼 때 가격이 짧은 기간 내에 이와 같이 폭등한 것은 다소정상현상으로 보고 있다.


   ◦ 세계 쌀 총생산량 (07/08추정)  427백만톤   (08/09전망)  432백만톤

   ◦ 세계 쌀 교역량   (07/08추정)   27백만톤   (08/09전망)   27백만톤

   ◦ 세계 쌀 재고량   (07/08추정)   78백만톤   (08/09전망)   82백만톤


     * 자료원 : USDA

 □ 주요 쌀 수출국 동향


  ◦ 주요 세계 쌀 수출국들은 작년 7월을 시작으로 해서 금년 5월 현재까지 국을 제외한 대부분의 나라들이 수출금지, 수출세부과 등 수출 통제 정책을 시행중에 있으며 이로 인하여 국제 쌀 시장에서 공급 부족 현상이 나타나 쌀 가격 상승을 초래시켰다.

      ※  별첨 1 : 쌀 수출 주요 국가별  조치 내용


  ◦ 또한 지난 4월에는 태국이 동남아 5개국을 중심으로 쌀 카르텔 설립(OREC)을 하여 공급자 위주의 시장으로 전환하려 하였으나 무산되었다.


 □ 자연재해에 따른 국제 쌀 수급 변동 요인 추가 발생


미얀마 싸이클론 피해 지역은 미얀마 쌀 곡창지역으로 이번 재해를 통하여 약 70만톤 이상의 감산이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 미얀마 쌀 생산량(백만톤) :  (';07/08추정) 10.7 → (';08/09전망) 10.0


중국 사천성은 중국전체 쌀 생산량의 8.3%를 차지하는 지역으로 이번 대지진으로 쌀 생산이 일부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며 도로 파괴에 따른 운송의 어려움 등으로 인해 중국 내 곡물가격은 상승할 것으로 보인다.


    - 그러나 중국은 ';07/';08 추정(USDA) 쌀 재고량이 38백만톤으로 중국 내 쌀 수급에는 문제가 없을 것으로 판단되고 있다. (06/07재고 36백만톤)


 □ 향후 전망


aT(농수산물유통공사) 조학형 수입정보팀장은 미얀마와 중국에서 발생한 자연재해가 같은 시기에 발생하였고 미국의 대북 곡물 지원 등이 계획되고 있으나, 세계쌀 추정 재고량을 감안하면  이전과 같은 급격한 상승은 없을 것으로 보이지만 당분간 강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 세계 쌀 수출 2위국인 베트남이 7월 이후 쌀 수출을 재개하면서 수출국들이 재고를 수출하려 한다면 국제쌀 가격 강세는 둔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첨부파일
작성자

관 **

OPEN 출처표시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업무담당자 담당부서 : 홍보실 / 문의전화 : 061-931-0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