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소셜네트워크 바로가기

로그인 및 영문버전

list

상단메뉴

홍보센터
해외에서 본 한국 농식품,‘품질과 이미지 우수.
  • 작성일Tue Oct 28 09:33:24 KST 2008
  • 조회수4447

 

 

 최근 해외에서 큰 인기를 끌고 있거나 적극적으로 시장을 개척해가는 한국 농식품의 사례가 점차 늘고 있다. 이에 우리 농식품의 성공가능성이 높은 품목에 대해 aT(농수산물유통공사 : 사장 윤장배)가 국내 한 조사전문기관과 공동으로 지난 5~7월 일본 104명, 중국 103명, 프랑스 100명, 베트남 100명, 미국 100명의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현지인들의 농식품에 대한 취식, 구입 그리고 인식 등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품목은 일본은 김치, 중국은 유자차, 베트남은 버섯과 인삼, 미국은 파프리카와 배, 그리고 프랑스는 버섯이다.


한국김치 만족도 3.6점 : 조사결과, 일본 소비자들의 경우, 한국산 김치를 처음 알게 된 계기는 한국여행(26.9%), 매장 진열대(26.9%) 및 한국음식점(21.2%)으로 나타나 수동적인 인지경로가 많았다. 취식 후 만족도는 한국 김치(3.6점:5점척도)가 오히려 일본김치(3.4점)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입맛에 맞고, 매운 맛과 적당한 신맛이 주된 선호이유였다.

  일본 소비자의 경우, 김치 구입시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인은 ';맛';과 ';위생';이며, 맛은 한국김치가, 위생은 일본김치를 더 높게 평가하였다. 

  따라서, 한국 김치의 수출확대를 위해서는 철저한 품질관리와 적극적 홍보활동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통망확충, 김치종류의 다양화, 포장개선, 시식 판매 등의 노력 또한 요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유자차 주 구입률 63% : 차 문화가 발달한 중국에서 우리나라의 유자차는 비타민C가 풍부해서 감기예방과 피로회복이나 피부미용에 좋다고 알려져 있다. 조사결과, 한국 유자차 주구입이 63%로 중국(33%)에 비해 두 배정도 높게 나타났다. 음용 경험 후 만족도도 3.7점(5점척도)으로 높게 형성되어 있었다. 향후 구입의향률 역시 중국산(3.1점)이나 일본산(2.4점)보다 높은 3.7점으로 나타나 시장 성공가능성이 매우 높았다. 다만 가격이 높다는 점이 부정적으로 인식되고 있었다.

  따라서 향후 고품질 이미지 전략과 소비자별로 차별화된 브랜드 전략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인삼 구입경험 92% : 베트남 소비자들의 인삼류(인삼차, 인삼캔디, 뿌리삼) 구입경험은 94%에 이른다. 건강에 유익하다는 점 때문에 성장기 청소년이나 고연령층은 물론 20-30대의 여성도 주로 취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삼류의 전체 만족도는 4.1점(5점척도)으로 매우 높았다. 한국산 인삼류의 구입경험률은 92%로 높은 수준이였으며, 향후 구입의향률도 높았다. 다만 한국산으로 위조한 제품의 유통이 한국산 인삼류 구매를 방해하는 요인(위조 인지 매우 신경이 쓰임 57%)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따라서, 향후 위조 방지를 위해 보증마크의 부착, 포장의 개선이 필요하며, 한국산 인삼류의 소비확대를 위한 홍보활동이 강화되어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베트남 소비자의 한국산 버섯의 원산지에 대한 인지율(84%)이 높고, 한국산 버섯은  품질이 우수하고 안전하다는 이미지를 가지고 있었다. 한국산 버섯의 장점은 맛(29.0%)과 품질(22%)인 반면, 가격이 다소 비싸다(59%)는 단점이 공존하고 있었다.

  따라서, 꾸준한 품질유지를 통해 브랜드화 전략과 적극적인 홍보 및 판매활동을 통한 시장확대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파프리카, 좋은 품질과 향 : 현재 미국내 소비되는 파프리카는 미국산(49%)과 멕시코산(32%)이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었다. 그러나 전체 응답자의 26%가 한국산 파프리카를 구입한 경험이 있고, 구입의향률 역시 3.8점(5점척도)으로 높게 나타났다. 한국산 파프리카는 품질이 좋고 맛있고, 향이 좋으며 신선하다는 긍정적 인식을 형성되어 있었다. 이에 비해 비싸다는 인식 또한 높게 형성되어 있었다.

  따라서 장기적으로 고품질 이미지 형성을 통한 고급 브랜드 전략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미국내에서 동양배에 대한 선호는 84.6%로 서양배(5.1%)보다 매우 높게 나타났다. 최근 구입 원산지 역시 한국산(59%)이 미국산(23%)보다 높게 나타났다. 한국산 동양배는 당도가 우수하고 과즙이 풍부하다는 점(3.9점)에 만족하고 있었다.

 따라서 한국산 동양배가 미국산이나 중국, 일본산에 비해 과즙이 풍부하고 우수한 식감 및 당도가 높은 특징이 있는 만큼 고품질 브랜드화 전략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남. 또한 기존 한인슈퍼 외에 슈퍼마켓과 대형 할인점 등으로의 유통망 확대 등이 이루어질 경우 성공할 수 있을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버섯, 건강에 좋다는 이미지 : 프랑스에서 한국산 버섯의 시장 성공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프랑스 소비자들의 양송이 구입경험률이 96%로 높았고, 팽이버섯과 새송이버섯은 구입경험률이 10%대에 머물러 있지만, 품질이 우수하고 건가에 좋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한국산 새송이버섯에 대한 이미지는 맛(한국산 85%, 유럽산 81%)과 가격(한국산 59%, 유럽산 56%)에서 유럽산보다 우위를 점하고 있었다.

  따라서 현재 한국식품점에 국한되어있는 구매장소의 판매처 확대노력과 맛보기 행사, 무료 취식 경험 제공 등을 통한 다양한 요리방법을 홍보한다면 팽이버섯과 새송이버섯 시장 성공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나타났다.


 앞에서 언급했듯이 우리 농식품 역시 해외 시장에서의 경쟁력이 있는 제품이 다수 있었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유통망의 확충이 시급했으며, 장기적으로는 철저한 품질관리를 통한 브랜드화 전략, 그리고 적극적인 홍보와 판매촉진 활동이 이루어진다면 해외에서 우리 농식품의 성공가능성은 충분한 것으로 나타났다.


첨부파일
작성자

관 **

OPEN 출처표시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업무담당자 담당부서 : 홍보실 / 문의전화 : 061-931-0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