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소셜네트워크 바로가기

로그인 및 영문버전

list

상단메뉴

홍보센터
2007 Postharvest 국제 심포지엄 개최
  • 작성일Mon Nov 19 09:16:12 KST 2007
  • 조회수5214

 

우리 농업의 경쟁력 ";수확 후 관리기술 향상";으로 높인다!

 

 ◦ aT(농수산물유통공사 : 사장 윤장배)는 창립 40주년을 맞아 국내외 수확 후 관리 분야 전문가를 초빙하여 ";선진 수확 후 관리 사례를 통한 한국식품 수출경쟁력 제고";라는 주제로 오는 11월 21일 aT센터(서울 서초구 양재동 소재)에서 『2007 Postharvest 국제 심포지엄』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 이번 심포지엄은 선진 농업국인 이스라엘, 미국, 일본의 수확 후 관리 분야 전문가 4명과 국내전문가 1명이 선진농업국의 수확 후 관리 성공모델, 신기술 보급사례, 신선농산물의 선도유지와 안전성 관리 기법, 수확 후 관리를 통한 국제경쟁력 강화 방안 등을 논제로 강연을 하고, 이어서 발표자와 우리나라 수확 후 관리 분야 산ㆍ학ㆍ관을 대표하는 10인이 종합토론을 갖는다.


 ◦ 세계 주요 농산물 수출국인 미국과의 FTA가 금년 4월 타결된 것을 비롯해 11월 현재 EU, 캐나다, 인도와의 협상이 진행 중에 있다. 글로벌 시장화가 본격적으로 진행됨에 따라 세계 각국은 지금보다 훨씬 더 많은 시장을 개방해야만 할 것이며, 농산물 시장도 예외 일 수는 없을 것이다.


 ◦ 세계 농산물시장의 장벽이 낮아지는 이때를 aT(농수산물유통공사)는 우리 농식품의 세계화와 수출 대 도약의 기회로 적극 활용 할 계획을 추진 중이다.


 ◦ 우리 농식품 세계화는 무엇보다 안전성과 품질이 보장 될 때 가능 할 것이다.

    이는 제 2의 생산이라 일컬어지는 수확 후 관리 분야에서의 선진화를 통해서만 달성 가능할 것이다.



 ◦ aT는 이번 국제 심포지엄이 농업 선진국의 관련 분야 정책과 발전모델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선진관리 기법 및 성공사례를 접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아울러 혁신을 앞두고 있는 우리나라 수확 후 관리 분야의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고, 수확 후 관리의 중요성을 재인식시켜 수출 농산물의 상품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는 계기가 될 것이라 전망했다.



 ◦ 이번 국제 심포지엄에 참석을 원할 경우 공식 홈페이지(www.at-postharvest.com)에 접속해 직접등록(등록비 무료, 중식 및 행사기념품 제공)하거나 심포지엄 준비사무국(☏02-336-2053)을 통해 신청할 수 있다.


▷ 주요 행사 내용  ◁


  ○ 개최일시 : ';07.11.21.(수). 10:00~18:25

 ○ 발표자 및 주제

발 표 자

 주     제

비고

Prof. Fallik Eli

(농업연구청 국장)

◦ 이스라엘의 Postharvest 성공 모델

이스라엘

강동현 교수

(미 워싱턴 주립대)

◦ 신선농산물의 안전성 관리 기법

미국

Prof. Cai-Zhong Jiang

(농무부 농업연구청)

캘리포니아 지역의 Postharvest 분야 연구와

   기술보급 사례

미국

Ishitani Takaske

(일본식품포장연구협회장)

◦ 고품질 채소 유통을 위한 포장 기술

일본

김종기 교수

(중앙대)

수확 후 관리를 통한 국제경쟁력 강화

한국

  

첨부파일
작성자

관 **

OPEN 출처표시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업무담당자 담당부서 : 홍보실 / 문의전화 : 061-931-0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