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시농업 소득작목 개발, 경매․교육․전시회 등 대중화에 기여 -
□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사장 김재수) 화훼공판장의 한국춘란 경매가 오는 24일로 개장 1주년을 맞는다. aT는 2005년 이후 침체된 춘란시장을 활성화하고 대중화를 통한 도시농업(베란다 농업 등) 창출을 위해 지난해 6월 국내외 최초로 한국춘란 도매시장 경매를 시작했다.
□ aT는 공개적이고 투명한 전자경매시스템을 통한 경매로 공정한 유통질서를 확립하고 소비의 저변 확대를 통해 재배농가의 소득 증대는 물론, 주부․직장인․은퇴자 등에게 새로운 일자리 창출과 함께 도시농업의 소득작목으로 한국춘란을 발굴한 것에 큰 의미가 있다고 밝혔다. 지금까지 한국춘란은 애란인들 사이에서 음성적으로 거래되어 왔다.
□ aT는 출하자와 구매자간 신뢰 구축을 위해 춘란단체와 공동으로 감정평가단을 구성하여 가격을 공정하게 평가토록 했다. 출하자는 경매 출하품에 대해 재배이력서를 작성, 품종 및 상품등록 여부를 보증하게 하여 판매나 구매 시 여러 문제점을 해소했다고 덧붙였다.
□ 춘란 경매에서는 한 개 화분이 1억 5백만원(단원소 2촉)까지 낙찰되는 등 지난해 한국춘란 경매금액은 20억원을 넘어섰고 경매등록자만도 500여명에 이른다.
□ aT는 지난 해 ‘한국춘란 입문 교육’을 신설하여 70여명이 수료했으며, 11월에는 aT센터에서 춘란단체와 공동으로 ‘한국춘란 전국 전시회’를 개최하여 애란인과 일반시민 5천여명이 방문하는 등 한국춘란 대중화에 크게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 최근 경매의 영향으로 춘란시장에서 화예품과 인기품종 등은 거래가격이 전년과 비교하여 30~40%이상 크게 올랐으며, 특히 주부 및 직장인들 사이에서는 난테크가 일어날 정도로 관심이 높아져 신규 애란인도 늘고 있는 추세다.
□ 한국춘란의 연간 거래규모는 약 2,500억원, 춘란 재배농가도 50만명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되나, 경매로 인해 일부 품종은 시장구매가 어려울 정도로 희소성이 높아졌고 거래금액과 재배인구도 크게 늘었다는 게 난계 안팎의 의견이다.
□ aT는 장기적으로 한국춘란의 중저가품은 재배를 규모화, 대량 생산화해서 수입화훼의 국내 선물시장을 한국춘란으로 대체하고, 해외 인기품종은 중국․일본 등에 수출을 적극 유도해 나갈 계획이다.
□ aT 이종견 미래성장본부 이사는 “한국춘란 심화 교육과정을 개설하고 춘란단체와 함께 전국 전시회 개최와 홍보 등을 활발히 펼쳐 춘란 대중화와 산업화에 앞장설 것”이라고 말했다.
홍보실 박세정
업무담당자 담당부서 : 홍보실 / 문의전화 : 061-931-0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