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공식품 소비자 분석 결과, “두루 꼼꼼 소비자형” 자녀 있는 가구에 가장 많아-
□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이동필)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사장 김재수)가 ‘가공식품 소비자 세분화 연구’의 결과로 △두루 꼼꼼형 △실용형 △저(低)관심형 △다(多)방문 소액구매형 등 ‘가공식품 소비자의 4가지 유형’을 공개했다.
□ 각 유형의 두드러진 특징을 살펴보면 ‘두루 꼼꼼형’과 ‘실용형’ 소비자 집단에는 남성보다 여성이 많았고, ‘두루 꼼꼼형’과 ‘저관심형’에는 4‧50대 중장년층이, ‘실용형’과 ‘다방문 소액구매형’에는 2‧30대 청년층이 많은 것으로 분석됐다.
□ 또한 ‘두루 꼼꼼형’과 ‘실용형’ 소비자는 자녀가 있는 기혼가구가, ‘저관심형’ 소비자는 자녀가 없는 맞벌이 부부나 딩크족이, ‘다방문 소액구매형’ 소비자는 싱글족이 상대적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저관심형’ 소비자의 가공식품 구매비율이 가장 높으며, ‘두루 꼼꼼형’ 소비자 중 40대 이상 주부의 경우 건강과 영양 관리 차원에서 식품을 구매하는 경우가 대다수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 이밖에도 두루 ‘꼼꼼형’, ‘실용형’, ‘저관심형’ 소비자는 브랜드 가치에 대한 관심과 브랜드에 대한 충성도가 큰 편이나 ‘다방문 소액구매형’ 소비자는 브랜드 가치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분석됐다.
□ 이번 연구는 식품통계정보의 체계적 발전과 다양한 활용을 통해 식품산업의 성장을 이끌고자 농식품부와 aT가 추진하고 있는 ‘식품정보분석 고도화사업’의 일환에서 수행된 것으로, 매년 시행‧발표하는 「가공식품 소비자 태도조사」결과를 △품질 △광고와 홍보 △가격과 맛이라는 3가지 측면에서 분석해 이루어졌다.
□ 지난 3월 식품산업 관련 전문가와 업계 실무자들을 초청해 개최한 ‘연구결과 우선보고 포럼’에서는, 이번 연구결과가 타깃 마케팅이 추세인 최근 가공식품 분야의 마케팅 추세 속에서 중소식품기업이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기 위한 이정표로서 큰 가치를 지닌 것으로 평가된 바 있다.
□ 이번 연구결과에는 4가지 유형의 소비자 세부 프로파일과 각각의 유형에 대한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 제시안이 포함돼있다. 자세한 내용은 이번 달 21일, 서울 양재동 aT센터에서 개최될 「식품산업 전망대회」에서 공개될 예정이다.
□ 식품산업 전망대회는 우리 식품산업의 현주소와 미래, 나아갈 방향에 대한 다양한 연구결과가 공개되고 이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가 이루어지는 지식정보포럼으로, 대한민국 식품산업의 발전방안과 정책적 방향성을 모색하기 위한 자리이다.
□ 식품산업 전망대회에 대한 문의는 aT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식품기획부(061-931-0717)와 서울대학교 식품정보분석고도화사업 연구단(02-880-4733)으로 하면 된다.
※ 「가공식품 소비자 태도조사」 : 전국 16개 시도의 20세 이상 69세 이하 성인 남녀 중 최근 1개월 이내 1회 이상 가공식품을 구입한 경험이 있는 4,000명을 대상으로 매년 시행
홍보실 박세정
업무담당자 담당부서 : 홍보실 / 문의전화 : 061-931-0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