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관님 말씀 요지
□ 농림수산식품부의 탄생은 대내외적인 여건 변화에 부응한다는 측면에서 그 의의가 크다고 생각함
○ 글로벌 경쟁 심화, 식량안보 중요성 증가, 소비자 트렌드 변화 등에 부응하기 위해서는 통합관리 중요
□ 향후 ';방패의 정책';을 바탕으로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활로를 개척할 수 있는 ';창의 정책';을
조화롭게 추진
○ 정책 대상을 농어업에서 4천7백만 국민 전체로 확대하고, 산업 발전의 주체인 민간과 기업을 섬기
는 정부가 되겠음
□ 현장에서 익힌 노하우와 비즈니스적 경영 마인드를 농어업에 접목시켜 돈 버는 농어업을 창출코자 함
○ 1시군 1유통회사 설립, 1시군 1농업 뉴타운 건설, 품목별 국가 대표조직 육성, 대규모 농기업 회사 설립,
농식품 유통고속도로 구축 등
□ 식품산업 정책방향은 식품․외식업계가 국산 원료 사용을 확대할 수 있도록 연계를 강화하는 한편,
○ 농촌 지역에 가공, 서비스 관련 투자를 확대하여 농수산물의 부가가치 향상 및 지역 경제 활성화 도모
○ 식품ㆍ외식산업이 세계적 경쟁력이 있는 산업으로 발돋움할 수 있도록 정책적인 뒷받침
○ 특히, 고추장, 된장, 김치 등의 발효식품은 우리나라 고유 식품으로 세계시장 경쟁이 가능하므로
집중 지원
□ 1차 산업인 어업․수산정책의 통합도 의의가 크다고 생각함
○ 농산물이나 수산물 모두 식품을 통한 부가가치가 가능하므로 통합관리를 통해 시너지 효과를 창출
□ 식품 안전업무의 농림수산식품부 일원화 필요
○ 식품안전관리는 규제정책만으로는 안되며 지원정책이 병행 필요
* 인수위도 식품안전을 농림수산식품부로 일원화하되, 향후 식품위생수준의 향상 정도를 보아가며
점진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발표(';08.1.16)
○ GAP, 이력추적제, HACCP 등 식품안전대책을 확대․발전시키고 소비자 단체가 감시자적 역할
을 할 수 있도록 지원
충북지사 정대석
업무담당자 담당부서 : 홍보실 / 문의전화 : 061-931-0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