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소셜네트워크 바로가기

로그인 및 영문버전

list

상단메뉴

고객참여
퇴폐/음란/욕설/상업성의 글은 물론, 근거 없는 내용으로 개인의 사생활 침해 및 명예훼손의 소지가 있다고 판명되는 게시물, 주민등록번호, 계좌번호, 휴대폰번호 등 개인정보를 포함한 게시물, 게시판 성격과 관계없다고 판단되는 게시믈의 경우에는 사전통보 없이 삭제됩니다.

퇴폐/음란/욕설/상업성의 글은 물론, 근거 없는 내용으로 개인의 사생활 침해 및 명예훼손의 소지가 있다고 판명되는 게시물, 주민등록번호, 계좌번호, 휴대폰번호 등 개인정보를 포함한 게시물, 게시판 성격과 관계없다고 판단되는 게시믈의 경우에는 사전통보 없이 삭제됩니다.



일본농수산무역 MBA과정안내
  • 작성일Wed Apr 18 11:55:18 KST 2012
  • 조회수3722

▶설립배경

○日 대진후 한국 농식품 관심․수출 급증

일본은 한국 농식품 수출의 30%를 차지할 정도로 가장 큰 한국 농식품 수출시장이며, 일본에 수출하고 있다는 것만으로도 여타 국가 수출이 가능할 정도로 일본은 여전히 매력적인 시장. 특히 지난해 일본의 대지진 이후 그 어느 때보다도 한국 농식품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크게 늘고 있음.

○대일시장 전문 심화교육 과정 개설

현재에 이르기까지 8년에 걸쳐 농수산무역대학을 운영, 농수산무역 전문가를 양성해오고 있는 (주)농수산무역신문사와 (사)한국농수식품무역협회는 이러한 여건을 반영하여 대일시장 개척만을 타깃으로 한 전문 심화과정 ‘일본 농수산무역 MBA’를 신설.

○전문화된 수출교육 통해 ‘일본 농식품 수출기반’ 마련

일본의 대형 유통업체 바이어를 비롯 일본 문화원· JETRO, 일본인 주부와 유학생 등이 직접 교육에 참여하는 등 생생한 교육 프로그램과 다양한 인적네트워크를 통해 ‘일본 농식품 수출전문가’ 양성 및 대일 수출기반 마련.

▶입학안내

○모집대상: 농어업인, 농․영어조합, 농업법인, 식품업체, 도매법인, 수출업체, 수출관련 공직자, 창업자 등 일본 농수식품 시장개척에 관심 있는 모든 분

○모집인원: 30명 내외

○교육기간: 2012년 5월~9월(5개월, 총 15회)

○교육장소: aT센터 강의실(서울 서초구 양재동)

○강의구성: 일본 대형 바이어와 함께하는 1박2일 수출연찬회, 일본 소비자가 뽑는 베스트 상품, 일본인 동행 수출현장연수, 대지진후 일본 시장변화와 진출방안, 일본진출 사업계획서 작성, 한류 활용 대일 농식품 진출전략, 보따리상 활용 대일 런칭, 일본문화원 방문, 해외연수 등

▶커리큘럼

※일부 교과 및 강사는 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 대일 수출전략 과정

○일본 대지진후 시장변화와 한국식품 진출방안

○대일시장 분석 및 최신 식품트렌드

○일본 농식품 인증제도 및 활용방안

○한류활용 대일 농식품 수출전략

○온라인 활용 한국 농식품 일본 진출방안

○한․일 농식품 수출분쟁 사례 및 대처방안

○일본인을 사로잡는 광고․판촉전략

○일본 수입식품 유통․판매시스템

○보따리 무역상을 통한 대일 런칭

○일본 수입 농식품 검역․통관 시스템

□ 무역실무 과정

○일본 대형 바이어와 함께하는 1박2일 수출연찬회(특강, 간담회, 만찬, 상담회 등)

○일본인 동행 수출현장연수(유학생 및 주부 등 한국거주 일본인)

○일본 소비자가 뽑는 베스트 상품(재한 일본인 초청 수강생 제품 품평회)

○일본 진출 사업계획서 작성 및 평가회(전문가 멘토 지정/ 외부전문가 평가)

○스토리텔링 구성 및 평가회(전문가 지도)

○일본 식문화 및 상습관 이해(일본문화원 방문)

○무역서식 작성 및 실습(인보이스, 페킹리스트 등)

□ 해외 연수

○유통매장 견학 및 현지 바이어 초청 간담회

○식품공장 및 농장 견학, 농산물 도매시장 견학, 현지 수입시장 조사 등

▶입학문의

(주)농수산무역신문 교육팀(서울시 서초구 양재동 232 aT센터 1303호)

전화 02) 6300-8005 팩스 02) 6300-8004 e-mail: baecsan@hanmail.net

★입학원서는 웹하드(www.webhard.co.kr) ID: atnews PW: 1111 ‘내리기전용’ 다운로드

첨부파일
작성자

농 ******

업무담당자 담당부서 : ESG경영부 / 문의전화 : 061-931-13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