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소셜네트워크 바로가기

로그인 및 영문버전

list

상단메뉴

고객지원
6월 6일~6월 17일 중국 쌀시장 모니터링(쌀시장 동향 등)
  • 작성일Thu Jun 23 09:42:35 KST 2016
  • 조회수1495

□ 쌀시장 동향

❍ 수요 부진 및 비축미 방출로 인해 갱벼(자포니카 조곡)시장은 전반적으로 수요 대비 공급이 많으나 ‘15년산 갱벼(자포니카 조곡)는 물량이 바닥나 가격이 견조함

❍ 가격이 옥수수 등 다른 곡물에 비해 높아 쌀을 대체하는 곡물의 수요가 증가함

❍ 현재 중국 대부분 지역에 강우량이 많은 상황으로 북방지역은 강우로 인해 토양을 충분히 적셔줘 작물 생장에 도움을 주는 반면 남방지역은 강우량이 매우 많아 생장에 방해를 주고 있음

□ 2016년 조곡 재배면적 및 생산량

❍ 2016년 조곡 재배면적은 전년대비 0.9% 증가한 3,050만 ha, 생산량은 전년대비 0.5% 증가한 20,930만 톤, 단위생산량은 전년대비 0.4% 감소한 6.862톤/ha 전망

- 조생 선벼(인디카 조곡) 재배면적 565만 ha, 중만생 벼 재배면적 2,485만 ha 전망

□ 2016/17년도 조곡 식용 소비 감소 전망

❍ 2016/17년도 중국 내 조곡 총 소비량은 전년도 대비 1.15% 증가한 18,511만 톤, 그중 식용 소비량은 전년도 대비 0.3% 감소한 15,700만 톤, 사료용 소비량은 전년도 대비 13% 증가한 1,380만 톤, 공업용 소비량은 전년도 대비 8.3% 증가한 1,300만 톤 전망

- 사료용 및 공업용 소비량의 증가 원인: 보존기간 경과한 비축조곡 처리의 가속화로 해당 물량이 사료용 및 공업용으로 소비됨

□ 2016/17년도 쌀 수입량 감소 전망

❍ 동남아 지역의 가뭄으로 수출 공급이 타이트해져 국제 쌀가격 상승 확률이 크고, 중국 내 조곡 재고처리가 가속화되어 보존기간 경과한 비축조곡의 출고가격이 낮아 2016/17년도 쌀 수입량은 감소 전망

- 쌀 최대 수출국인 태국의 쌀 가격(5% 파쇄립)은 연초 대비 16% 상승해 중국 내 비슷한 품질 쌀과의 가격차가 축소됨

첨부파일
작성자

식량관리처 배문희

OPEN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업무담당자 담당부서 : 수급정보부 / 문의전화 : 061-931-10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