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5년 국가별 쌀 수입량
❍ 해관 통계에 따르면 2015년 중국은 베트남으로부터 179만 톤(전체 수입량의 54%), 태국으로부터 93만 톤(전체 수입량의 28%), 파키스탄으로부터 44만 톤(전체 수입량의 13%)의 쌀을 수입함
□ 2016년 1월 22,216톤 쌀 수출
❍ 중국 해관총서에 따르면 2016년 1월 중국 쌀 수출량은 전년 동기 대비 15.04% 증가한 22,216톤임
- 전년 동기 쌀 수출량은 19,312톤임
□ 동북 갱벼(자포니카 조곡)시장 동향
❍ 춘절이 지나고 동북 농가는 경작 준비에 들어감
❍ 동북 갱벼(자포니카 조곡) 생산지 조사에 따르면 조곡 경작지 임대료가 상승함
- 주요원인: ➀2015년, 옥수수 임시비축가격이 실시 7년 이래 처음으로 하향 조정됨에 따라 옥수수 재배수익이 상대적으로 감소, ➁갱벼(자포니카 조곡)는 시장지지수매정책이 있어 가격이 견조해 수익이 비교적 양호할 것으로 예상되는바 따라서 농가의 재배가 적극적일 전망
□ 선벼(인디카 조곡)시장 가격 하락 압력
❍ 남방 비축조곡은 교체기에 진입할 예정으로 단기 내 선벼(인디카 조곡) 공급은 증가할 전망이며 국내외 쌀의 큰 가격차로 쌀 수입량이 많아 선벼(인디카 조곡)시장 가격 하락 압력은 비교적 큼
□ 2016년 조곡 병충해 증가로 인한 조곡 단위생산량 감소 전망
❍ 중국 농작물 병충해 관측보고조사에 따르면 2016년 벼멸구 발생면적은 전년대비 24% 증가한 4.3억 무(2,867만 ha), 나방 발생면적은 전년대비 37% 증가한 3.2억 무(2,133만 ha)이며 2016년 도열병 발생면적은 평년대비 10% 이상 증가한 8,000만 무(533만 ha) 전망
❍ 이를 근거로 시장은 2016년 조곡 단위생산량은 전년대비 감소할 것으로 전망
식량관리처 배문희
업무담당자 담당부서 : 수급정보부 / 문의전화 : 061-931-10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