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소셜네트워크 바로가기

로그인 및 영문버전

list

상단메뉴

고객지원
12월 14일 주간 중국 쌀시장 모니터링(중국 갱벼시장 동향 및 전망 등)
  • 작성일Thu Dec 24 16:36:01 KST 2015
  • 조회수1592

□ 흑룡강성 조곡 정책성 수매량 1,286.2만 톤

❍ 중저량 흑룡강지사에 따르면 흑룡강지사는 2015년 정책성 조곡을 전년대비 438.4만 톤 증가한 1,286.2만 톤을 수매함(12/13일 기준)

□ 1-10월 중국 쌀 수입량

❍ 해관 통계에 따르면 1-10월 중국 쌀 수입량은 총 263.68만 톤으로 작년 한 해의 전체 수입량을 초과함

❍ 지역별로 보면 연해 지역이 쌀 수입의 최다 지역이며 주산지 수입량도 급증하고 있음

❍ 3분기 동안 주판매지인 광동성, 절강성, 복건성 쌀 수입량은 157.21만 톤으로 중국 전체 쌀 수입량의 67.9%임

□ 신구곡 가격차 확대 전망

❍ 향후 신구곡 가격차 확대 전망

❍ 주요원인 : ➀2011년 이래 연속적인 정책성 수매 시행(갱벼5년, 선벼3년)으로 구곡 재고량이 방대하고 수요가 부진함, ➁올해 신곡 생산량이 다소 증가했고, 현재 수매진도를 보면 올해 조곡 수매량이 신기록을 기록할 가능성이 있어 향후 시장의 신곡 감소 전망

□ 라오스, 중국에 쌀 수출량 확대

❍ 올해 라오스 중남부지역에 있는 사반나케트성(省)은 중국에 쌀 8,000톤을 수출했으며 앞으로 매년 1만 톤 이상씩 수출하기를 희망함

❍ 비록 현재 수출량은 적을지라도 향후 증가량은 많아질 전망

□ 중국 갱벼시장 동향 및 전망

❍ 현재 중국 갱벼시장은 매매량이 증가 중이며 가격은 보합세임

- 연말이 가까워지면서 농가들의 대출금 상환 및 물량 보관 등의 문제로 판매가 적극적임

❍ 향후 갱벼 가격은 보합세 유지, 판매량은 신정 전후로 증가, 정책성 수매가 여전히 시장을 주도할 전망

첨부파일
작성자

식량관리처 배문희

OPEN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업무담당자 담당부서 : 수급정보부 / 문의전화 : 061-931-1085